티스토리 뷰

반응형
쫀득한 연근조림 황금레시피
연근조림 만드는 법
연근조림 레시피
밑반찬 만들기

조림요리 연근요리

 

연근조림
연근조림

 

연근 자체의 아삭한 식감에 적당한 시간 동안 졸여서 쫀득한 식감을 더한 연근조림은 장시간 보관해 두어도 맛의 변화가 크지 않은 음식인데요. 조리 과정도 간단하고 만들기 위해 준비해야 할 재료의 가짓수도 많지 않아서 밑반찬이 필요할 때 심플하게 조리하기 좋은 메뉴랍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메뉴다 보니 그동안 다양한 레시피들을 포스팅해 드렸지만 연근조림 조리 방법을 소개해 드리지 못한 거 같아서 레시피가 필요하신 분들이 참고하실 수 있도록 조리해 봤답니다. 쫀득한 식감과 아삭한 식감이 동시에 느껴지는 조리 방법이므로 레시피가 필요하셨던 분들께서는 제가 알려드린 핵심 사항들을 잘 기억해 두셨다가 직접 조리하실 때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준비할 재료들

 

연근조림
연근조림

 

연근 250g (손질 후)
다시마 우린 물 110ml
참기름 2/3T
진간장 2T
식용유 1T
설탕 1.2T
맛술 1T
물엿 2T
통깨 1t

계량단위

1T = 밥숟가락 1스푼
1t = 밥숟가락 1/3스푼

 

연근 250g은 양 끝단을 잘라내고 껍질을 깎아낸 손질 후의 무게이므로 참고하세요.

 

연근 손질 및 다시마 우린 물 준비

 

연근조림
연근조림

 

준비하신 연근의 양쪽 끝부분을 적당히 잘라낸 다음 흐르는 물로 씻어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러로 껍질을 깎아내 주세요. 제가 요리에 사용한 연근처럼 길이가 짧고 뭉툭한 형태는 암 연근이라서 길쭉한 형태의 숫 연근에 비해 쫀득한 식감이 나는 것이 특징이므로 이점을 참고하셔서 연근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손질한 연근을 0.5~0.6cm 두께의 원판형으로 자른 다음 데치기 전에 흐르는 물로 가볍게 세척해 주세요. 다시마가 흡수하는 분량을 감안하여 150ml의 물을 볼에 붓고 건 다시마 3g을 넣어서 감칠맛을 우려내 주세요. 다시마는 찬물에 담가두어서 감칠맛이 잘 우러나서 간편하게 요리에 사용하기 좋답니다.

 

연근 데치기

 

연근조림
연근조림

 

끓는 물에 연근을 넣고 식초 1T를 첨가한 다음 5분 정도 데쳐주세요. (식초를 살짝 풀어준 물로 연근을 데치면 아린 맛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답니다.) 적당히 데쳐낸 연근을 흐르는 물로 세척하여 식초 냄새를 없애주세요.

 

 

 

 

쫀득한 연근조림 황금 레시피

 

연근조림
연근조림

 

데쳐낸 연근을 냄비에 넣고 설탕 1.2T와 식용유 1T를 첨가한 다음 2분 정도 골고루 뒤적여가며 볶아서 표면에 식용유를 골고루 입혀주세요. 연근의 표면에 식용유가 골고루 입혀지면 다시마 우린 물을 붓고 진간장 또는 양조간장 2T, 맛술 1T, 물엿 2T를 첨가하여 골고루 섞어주세요.

 

양념을 골고루 섞어주신 후에는 뚜껑을 닫고 센 불로 가열하다가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 불~중약 불로 낮춰주세요. (뚜껑을 닫고 졸이는 동안 한 번씩 뒤섞어 주시기 바랍니다.) 수분이 거의 남지 않은 상태가 되면 불을 끄고 참기름 2/3T와 통깨 1t를 첨가한 다음 골고루 섞어서 연근조림을 완성해 주세요.

 

완성 및 플레이팅

 

연근조림
연근조림

 

완성된 요리를 접시에 옮겨 담고 통깨를 한 번 더 뿌려서 사진을 찍어봤는데요. 간이 잘 배서 제법 먹음직스러워 보이네요. 다양한 각도에서 찍은 완성 플레이팅 사진을 함께 업로드해 드렸으니 완성된 연근조림을 잘 살펴보실 수 있을 거예요.

 

연근조림 Q&A

 

연근조림
연근조림

 

Q1. 연근조림에 어떤 연근이 더 잘 어울리나요?
A1. 길이가 짧고 뭉툭한 암 연근은 쫀득한 식감이 강하고, 길쭉한 숫 연근은 아삭한 식감이 강해요.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Q2. 연근 데칠 때 식초를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식초를 넣으면 연근의 아린 맛을 줄이고, 색 변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Q3. 연근을 얼마나 두께로 썰어야 하나요?
A3. 0.5~0.6cm 두께로 썰면 조리 후 아삭함과 쫀득함을 동시에 살릴 수 있습니다.

 

Q4. 연근조림이 짜지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A4. 저염 간장을 사용하거나 양념 비율에서 간장의 양을 줄이고 물엿이나 맛술을 조절해 주면 좋아요.

 

Q5. 연근조림은 얼마나 보관할 수 있나요?
A5.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면 약 4~5일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Q6. 다시마 우린 물은 꼭 사용해야 하나요?
A6. 다시마 물은 감칠맛을 더해주지만, 없다면 그냥 물로 대체해도 무방합니다.

 

Q7. 연근조림의 윤기를 살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7. 마지막에 물엿과 참기름을 넣어 섞어주면 윤기 있고 먹음직스러운 연근조림이 완성됩니다.

 

Q8. 연근조림에 고명을 추가한다면 어떤 게 좋을까요?
A8. 통깨는 기본이고, 송송 썬 대파나 실고추를 올려주면 색감과 풍미가 더 좋아집니다.

 


 

연근조림은 아삭하면서도 쫀득한 식감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대표 밑반찬입니다. 조리 과정이 간단하고 재료 준비도 부담스럽지 않아 언제든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저염 간장과 다시마 우린 물을 활용하면 건강하면서도 깊은 감칠맛을 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물엿과 참기름을 더해 윤기를 살리면 보기에도 먹음직스러운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주 1~2회 만들어 두면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든든한 밑반찬이 되니, 이번 주에는 직접 연근조림을 준비해 보세요. 레시피를 끝까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